경제

1. GDP란?

minyiboochoo 2020. 6. 14. 02:54

 

뉴스를 보면 정말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. 저는 경제를 복수전공 했지만, 수업을 듣지 않고 단순히 [시청](?)만 해서 그런지 경제학과 전공을 했다는 소리를 할 때, 참 부끄러울 때가 많더라고요. 그래서 경제에 상당히 관심이 많은데도 노력하지 않아 사실 관련된 지식이 잘 없습니다ㅠㅠ

 

그래서 차근차근 하나씩 공부할 겸, 복습할 겸. 경제도, 정보도 다양한 것들을 기록하는 용도로 시작해 보려고 합니다.

 


● GDP란?

 

국내총생산(GDP)은 한 국가 안에서 일정기간 새로이 생산된 재화나 서비스의 시장의 가치로 판단해서 합산한 것을 말합니다. 

 

여기서 "한 국가, 나라"라고 하는 것은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국내에서 이뤄진 모든 생산을 말하는 지수입니다. 그 기준은 최종재이며, 중간 단계에서 발생하는 중간재는 해당되지 않습니다. 또한, 해외에서 만들어진 생산물이라고 하더라도 그 소유권이 국내에 있다면 GDP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. GDP에서 말하는 일정기간은 1년 또는 분기별로 보는 것을 말합니다. 또한, 새로이 생산된 재화나 서비스라는 것은 1년 또는 분기별로 생산된 재화나 서비스가 부가가치를 창출한 것으로 이전의 생산된 것들.. 중고로 사고 판 것에 대해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.

 


● GOP 측정 방법

 

부가가치 = 산출액 - 중간투입액

 

간단하게 생각해서 A라는 물건을 만들기 위해 B라는 자재를 구매했을 때, 이 회사가 A라는 물건은 1,000원에 판매되고 들어간 자재 B는 500원이라고 가정하면, 1,000원은 산출액이 되고 500원은 중간투입액이 됩니다. 부가가치가 500원이 되는 것이죠!

 


● GDP 조회 방법

 

http://ecos.bok.or.kr/

 

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

 

ecos.bok.or.kr

 

① 해당 링크를 통해 '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'으로 접속합니다. 10번에 있는 국민계정(2015년 기준년)을 클릭.

 

 

② 국민계정에서 10.2. 경제활동별, 지출항목별 규모로 접속합니다.

 

 

③ 경제활동별 GDP 및 GNI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● 명목GDP, 실질GDP

 

한 해 GDP가 증가했다라고 가정한다면, [총 생산량이 증가], [생산물의 가격이 상승], [두 가지 가능성 모두] 총 세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.

 

하지만 각각의 상황이 모두 다르므로 GDP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물량, 가격, 두 가지 모두의 가능성이 분리되어 살펴볼 수 있어야 합니다.

 

그래서 이것을 나눈 것이 명목, 실질GDP입니다.

 

* 명목GDP

 

명목GDP는 생산되었을 때의 가격을 적용해서 파악합니다. (경제의 규모, 구조 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.)

 

* 실질GDP

 

실질GDP는 기준년도 가격을 측정한 것으로 불변가격GDP라고도 합니다. GDP조회 하는 방법에서도 보셨듯이, 기준년도는 2015년으로 되어 있습니다. (경제성장, 변동 등 경제 활동의 흐름을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.)

 

예를 들면, 감자를 2010년에는 10개 2011년에는 10개. 가격은 2010년 100원에서 2011년 150원으로 올랐다고 가정합니다. (이때 대한민국 총생산은 감자가 유일합니다.) 명목GDP는 [생산량 * 당해년도 가격]이므로 2010년에는 10 * 100원이므로 1,000원이 됩니다. 2011년에는 10 * 150원이므로 1,500원입니다. 1년 사이 50%가 증가했습니다.

 

실질GDP는 [생산량 * 기준년도 가격]을 적용하므로 기준년도를 2010년이라고 한다면, 10 * 100원 = 1,000원. 2011년에는 감자 10개가 생산됐지만, 가격은 2010년을 그대로 적용하므로 100원을 곱하면 10 * 100원 = 1,000원. 결국 실질GDP는 오르지 않은 것이죠.

 


아주 기초적인 것인데.. 배우면서도 참 복잡하네요.. ㅇ_ㅇ 배움의 길은 멀고도 험한 것 같습니다.